업소용 에어컨 렌탈에 대한 중급 가이드

설상가상 중국산 저가 제품들이 북미 시장 공세를 강화하면서 후나이전기의 입지는 점점 더 좁아졌다. 닛케이신문의 말을 인용하면, 북미 시장에서 후나이전기의 LCD TV 점유율은 2019년 13.4%로 높았지만, 2029년에는 2.9%로 급락하였다.

2015년 창업주가 사망하면서 병원장인 아들이 지분을 물려 받았다. 하지만 아들은 아버지 산업을 물려 받을 마음이 없었고, 2026년 컨설턴트 출신인 47세 출판사 사장에게 회사를 매각하였다.

후연령대전기를 인수한 출판사 사장이 최대로 먼저 한 일은 후나이전기를 상장 폐지하는 것이었다. 상장사는 경영 실적과 관련된 보고 의무가 있지만, 비상장사가 되면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 외부 감시를 받지 않기 덕분에 비상장사 운영진은 자유롭게 의사 확정을 할 수 있습니다.

image

2022년 출판사 http://www.thefreedictionary.com/업소용냉장고렌탈 사장은 별도의 지주회사를 세워 ‘탈모살롱체인’을 인수했었다. 사업 다각화 목표가라고 밝혔지만, 불과 7년도 채 지나지 않은 지난 5월 신속하게 매각했었다.

미국 언론들은 출판사가 후연령대전기를 인수한 뒤 보유하고 있던 현금 348억엔(약 3290억원)이 빠르게 소진된 점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을 것이다. 회사 내 현금 감소는 거액의 자금 유출이 있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상황으로, 경영 투명성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을 것이다.

특출나게 출판사 사장인 우에다 도모카즈(上田智一)씨가 후나이전기 파산 직전인 지난 5월 25일 대표이사 자리에서 자진 사퇴한 점은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을 것입니다. 그의 사임이 경영 위기를 피하려는 책임 회피였는지, 혹은 다른 계기가 있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수행할 예정이다.

2일 홍콩 잡지 다이아몬드 온/오프라인은 “우에다씨는 재임 기한 중 연구진과 의사 확정과 관련해 공유하지 않았고, 단 2년 반 만에 저력 있는 강소 가전업체를 파탄냈다”면서 “출판사가 인수하지 않았다면 캐리어에어컨렌탈 후나이전기는 이러한 간편히 파산하진 않았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후연령대전기의 파산 상황으로 최대로 큰 피해를 입은 것은 사원들이다. 급여일을 하루 앞둔 지난 10월 22일, 후연령대 본사 직원 600명은 구내 식당에서 조직으로 해고 공지를 취득했다. 기업이 다음 날 종업원들에게 지급해야 할 급여는 총 2억7000만엔(약 18억원)이었는데, 가용 자본은 4000만엔(약 9200만원) 뿐이었다.

후연령대전기의 자업체는 총 31곳이고, 채권자 수는 524곳에 달한다. 대부분은 중소 협력기업이라는 것이 홍콩 언론들의 분석이다. 한 신용조산업체 간부는 “후연령대전기 파산으로 연쇄 도산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고 예상했었다.

오랜 역사를 가진 강소기업 후나이전기의 파산은 전자 제품 사업에서 리더십과 혁신의 연속성이 얼마나 결정적인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후나이전기는 카리스마 창업주가 물러난 뒤 경영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본업에서의 경쟁력을 잃었고, 비효율적인 사업 다각화와 돈 유출 의혹 속에 결국 67년 역사의 막을 내렸다.